
“석탄발전소 폐쇄 충격, 기금으로 완화”
지역 맞춤형 탄소중립 해법 찾는다
탄소중립을 향한 경남의 대응이 구체적인 실행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경상남도 기후대응기금 조례 제정을 위한 첫 공개 토론회가 열리며, 기후위기 시대를 지역이 스스로 준비할 길이 모색되고 있다.
24일, 경상남도의회 허동원 의원(국민의힘, 고성2)이 주관한 이 토론회는 기후위기 대응 재원 마련을 목적으로 한 ‘기후대응기금’ 조례의 방향성과 실행 가능성을 점검하는 자리였다. 현장에는 전문가, 도의원, 경상남도 관계자, 일반 도민 등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쏟아냈다.
기금의 핵심은 ‘재원 조달’과 ‘사업 우선순위’. 임형우 한국환경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기금의 명확한 목적 설정과 성과지표 마련을 강조했고, 우기수 도의원은 “기금이 실효성 있게 쓰이려면 체계적인 운영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박진호 경남연구원 기후환경정책팀장은 “사천과 하동의 석탄발전소 단계적 폐쇄에 따른 지역경제 충격 완화에 기금이 쓰일 수 있다”며, 기후정책이 산업 구조와 맞물리는 현실을 지적했다.
경상남도환경재단과 도 기후대기과도 “선도적 역할을 하겠다”며 기금 실현 의지를 밝혔고, 허동원 의원은 “기후대응은 중앙정부의 몫만이 아니다. 지역 스스로 준비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