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필수의사제’ 시범사업, 의료 공백 해소 기대

경남도-의료기관-의사회 손잡고
필수의료 강화 위한 협약 체결

도시를 제외한 지역 곳곳이 인구감소 위기를 겪고 있는 경남도, 이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 가운데 하나가 ‘의료 공백’이다.

응급환자 이송과 소아 야간진료, 산부인과 부족 등 의료 공백이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인한 증상이자 원인으로 꼽히는 가운데 경남도가 ‘지역필수의사제’를 시범 운영한다는 소식이다. 이를 위해 도는 경상국립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경상남도의사회와 공동 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연말까지 경남에서 5년간 근무할 의사 24명을 모집한다.

모집하는 주요 8개 필수 진료과목은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이다.

경남도가 의료공백 최소화를 위해 의사회, 주요 의료기관들과 손잡고 ‘필수의사’를 모집한다. 의료 공백은 인구감소를 겪는 많은 지역에서 ‘개선해야 할 대상’으로 항상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문제다. 25일 경남도청에서 지역필수의사제 시범사업 공동업무 협약이 체결됐다. 사진제공=경남도청

지역필수의사, 5년간 지역 근무
의사 가족 정착 시 지원 방안도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채용되는 지역필수의사에게는 계약 기간 동안 매월 500만 원(경남도의 동행정착금 100만 원 포함)의 수당이 지급되며, 타 시도에서 전입하는 의사의 가족을 위한 자녀학자금 등의 정착 지원책도 마련된다.

경남도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도민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장기적으로 필수 진료과 인력 양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경남도는 이번 시범사업 외에도 필수의료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오는 7월부터 경남을 포함한 강원, 전남, 제주 등 4개 지역에서도 시행된다.

이번 시범 운영에 지역 의료 현장의 목소리를 잘 반영하고,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도 적극 보완해 나간다면 인구감소 위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이 제도 시행 과정에 주목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