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성 도의원 “결혼준비 지원정책 경남은 전무”
신혼의 시작이 ‘빚’…공공정책 외면한 결혼시장 지적
결혼이 인생의 축제가 아니라 경제적 부담으로 다가오는 시대. 서울시가 결혼준비 비용 완화를 위한 공공정책을 확대하는 가운데, 경남도는 여전히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시엔 있고, 경남엔 없다”
정희성 경남도의원은 지난 9일 열린 제425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결혼을 준비하는 이들이 웨딩 산업의 상업성과 높은 비용에 내몰리고 있다”며 “공공기관이 결혼시장의 왜곡을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시는 현재 25곳인 공공예식장을 65곳까지 늘릴 계획이며, 해당 예식장을 이용하는 예비부부에겐 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스드메) 비용 최대 100만 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정 의원은 “서울시는 한강뷰, 한옥뷰 등 차별화된 예식장 경쟁력까지 키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경남은 무대책…“정주인구 위한 정책 필요”
반면, 경남도는 공공예식장조차 없는 현실이다. 정 의원은 “경남은 20대 인구 순유출 1위라는 현실에도 유입만 바라보며, 정작 지역에 머무는 청년을 위한 정책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도 차원의 공공예식장 조성은 물론, 결혼 준비 대행업체들과의 소통을 통해 비용 투명성을 높이고 경제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정주하는 도민이 안심하고 결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끝으로 “많은 예비 신혼부부와 부모들이 결혼식 준비만으로도 부담이 크다”며 “경남도가 선제적이고 능동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나부터 움직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