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대학교·연암공과대·동원과기대
교육부 예비지정 신청…지역맞춤 혁신 비전 제시
‘지방대학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균형발전의 주체로 거듭나기 위한 마지막 승부수에 경남의 대학들이 나섰다.
경남대학교, 연암공과대학교, 동원과학기술대학교 등 경남 지역 3개 대학이 교육부의 ‘글로컬대학30’ 사업에 예비지정 신청서를 제출하고, 본선 진출을 위한 막판 경쟁에 돌입했다. 지난 2일, 이들 3개 대학이 교육부에 예비지정 신청서를 공식 제출했다. 올해는 글로컬대학 사업의 사실상 마지막 지정 기회로, 교육부는 5월 중 예비지정 대학 15~20개를 선정한 뒤, 오는 9월 최종적으로 10개 이내의 본지정 대학을 발표할 예정이다.
디지털 전환부터 관광 서비스까지…대학별 맞춤형 전략
경남대는 국가산업단지와의 연계를 기반으로, ‘지산학연 일체 대학’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스마트 제조, 인공지능(AI), 디지털 물류 등 디지털 융합인재를 양성하고, 초거대 제조 AI 기술을 기반으로 지역 산업의 스마트화를 주도하겠다는 계획이다. 연암공대는 울산과학대학교, 한국폴리텍Ⅶ과 연합해 ‘지산학연 상생 연합공과대학’ 모델을 제안했다. LG, HD현대 등 지역 기업 공장을 기반으로 가상현실(VR) 연계 실습 시스템인 SimFactory를 활용해, 제조 기술 실무인력을 육성한다는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제시했다. 동원과기대는 계명문화대, 제주관광대와 함께 ‘컬쳐-기술-관광-서비스 분야 융합형 K-고등직업교육 플랫폼’을 내세웠다. 해외 유학생 유치와 고숙련 외국인력 양성을 통해 지역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지역사회, 기대만큼 우려도
본지정에 성공할 경우 최대 5년간 1,000억 원(통합대학 최대 1,500억 원)의 국비가 지원되지만, 그 이후의 운영 재정은 아직 불확실하다. 또, 지역 산업과의 실질적 연계성과 효과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제시된 비전이 실제 지역 기업과 청년 일자리에 어떤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 더불어 수도권으로의 인재 유출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도 요구되는 상황이다. 외형적인 플랫폼 구축만으로는 지역 대학의 체질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오는 9월 본지정 심사는 대학뿐 아니라 지자체, 지역 산업체와 공동으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결국 지역 사회 전체가 함께 참여하는 구조적 전환이 핵심이다. 따라서 진정한 지방대학 혁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와의 협력 강화, 성과 평가와 피드백 체계 구축, 지역 일자리와의 직접적 연계 방안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기사에 사용된 사진출처: 경남대학교 누리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