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개발
-
웅동1지구 개발계획, 변경안 통과…속도내나
사업 정상화 발판 마련… 소멸어업인 민원 해결도 본격화 개발계획 변경안이 예상보다 3개월 빠르게 통과되면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웅동1지구 사업이 재시동을 걸었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하 경자청)은 이번 결정을 기반으로 잔여 기반시설 착공과 상부 개발계획 수립 등 사업 정상화 절차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5년 연장 승인… 2029년 착공 목표 지난달 26일,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위원회가 웅동1지구 개발계획 변경안을 원안대로 통과시켰다. 당초 2022년에 종료될…
-
밀양·김해에 430억 투입…농촌개발사업 본격화
경남도, 생활서비스 개선 통해 ‘돌아오는 농촌’ 꿈꾼다 돌봄부터 문화까지…통합형 사업으로 농촌 활력 높인다 밀양과 김해에 농촌의 얼굴을 바꿀 개발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농림축산식품부의 ‘2026년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공모에서 밀양시와 김해시가 나란히 선정돼 총 430억 원의 국비를 확보했다. 이번 사업은 거점과 배후지역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어 생활서비스 인프라를 통합 개발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밀양시는 하남읍과 초동면을 중심으로 300억 원 규모의 통합형…
-
창원, ‘공공 혁신’…하나의 부지에 문화, 행정 등 수직 배열
진해 동부권 생활문화센터, ‘입체 복합화’ 첫 실험대에 도시 공간 부족 해법으로 주목…2028년 준공 목표 도시 공간은 한정돼 있지만 주민의 요구는 갈수록 다양해진다. 창원특례시가 그 해법으로 ‘공공시설 입체 복합화’ 카드를 꺼내들었다. 하나의 부지에 문화‧행정‧체육시설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는 방식이다. 창원시는 진해 동부권생활문화센터 신축 사업을 입체 복합화의 시범 대상지로 선정하고, 지난 21일 설계공모를 시작했다고 28일 밝혔다. 공모지침서에는 복합화…
-
창원, “지방소멸 막으려면 거점도시 육성부터”
의대 설립·특례시 특별법 제정 등 대선 공약으로 요청 대한민국 인구 절반이 수도권에 몰려 사는 현실 속, 비수도권 도시들의 존립이 위험하다. 그 중 하나가 창원이다. 특례시 지위를 가진 광역급 도시지만, 인구 감소와 경제 활력 저하로 그 위상조차 위협받고 있다. 창원시가 정부와 정치권을 향해 ‘지역 거점도시 육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선 배경이다. 창원시는 이번 대선에 맞춰 △동남권 초광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