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 원도 못 빌리는 현실”…경남도, 생계비 최대 150만 원 지원

연소득 3,500만 원 이하 대상, 최대 150만 원 지원

불법 사금융 막고, 금융사각 해소 겨냥

경상남도가 신용등급이 낮아 제도권 금융에서 밀려난 도민들을 위한 새로운 맞춤형 금융상품 ‘경남동행론’을 6월 말 선보인다. 최대 150만 원의 생계비를 빌릴 수 있는 이 상품은, 연소득 3,500만 원 이하이면서 신용 하위 20%인 만 19세 이상 도민이 대상이다.

경남도는 19일 서민금융진흥원, NH농협, BNK경남은행, 도내 18개 시·군 등 총 22개 기관과 함께 ‘경남동행론’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으로 공공·금융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맞춤형 금융 복지 정책이 본격화됐다.

신용 하위 도민에 최대 150만 원 생계비를 지원하는 ‘경남동행론’이 6월 말 출시를 앞두고 있다. 사진제공=경남도청

박완수 도지사는 “청년들이 신용 문제로 10만 원도 빌리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까웠다”며 “경남동행론이 생계의 갈림길에 선 도민에게 작은 희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동반자적 입장에서 도민들과 함께 가는 정책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민금융진흥원 이재연 원장은 “지역에 맞는 금융 지원 모델이 필요하다”며 “경남동행론이 전국적 협력사업의 모범이 되도록 적극 돕겠다”고 밝혔다.

경남도는 현재 상품 설계와 전산 시스템 개발을 진행 중이며, 금융기관 앱을 통한 비대면 신청도 지원할 계획이다. 자세한 신청 방법과 일정은 도 홈페이지와 SNS 등을 통해 안내할 예정이다.

경남도는 이번 상품 외에도 연체자 대상의 금융지원 상품을 오는 8월 말 추가로 출시할 예정이다. 불법 사금융 유입을 막고,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도민들을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전략이다.

사회 안전망의 빈틈을 메우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삶의 돌파구가 되는 정책이 될 수 있을지, 실행 이후의 철저한 사후관리도 중요한 과제로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