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속 6개월 이상 시 최대 160만 원 지원
우수 중소기업 홍보도 병행
근무여건 개선없이 효용 의문

도내 제조업 중소기업들이 인력난으로 몸살을 앓는 가운데, 청년들이 기피하는 산업 현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지원책이 추진된다. 문제는 단순히 일자리가 없어서가 아니라, ‘일할 사람’과 ‘일자리’ 사이의 간극이 점점 벌어지고 있다는 데 있다.
훈련 이수한 청년에 수당 지급
경남도는 최근 ‘경남형 빈 일자리 채움 청년 취업지원 사업’을 본격 시행하며 제조업 분야의 구인난 해소에 나섰다.
지원 대상은 직업능력개발 훈련과정을 120시간 이상 이수한 만 18세 이상 39세 이하의 경남 거주 청년이다. 이들이 도내 제조업체에 정규직으로 취업해 6개월 이상 근속할 경우, 최대 3개월 동안 월 20만 원의 훈련참여수당과 함께 취업성공수당 100만 원을 받을 수 있다.
단순 수당 지급을 넘어, 기업 인식 개선을 위한 콘텐츠 제작도 병행된다. 도는 우수 중소기업 20곳을 선정해 홍보 콘텐츠를 만들고 이를 경남도 일자리포털에 게시할 예정이다.
사업 접수 시작…우선은 도내 청년 대상
사업 수행은 경남투자경제진흥원이 맡았으며, 이달 9일부터 공식 접수를 시작했다. 홈페이지 외에도 경남바로서비스 누리집, 이메일, 팩스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전화 상담도 병행된다.
경남도 관계자는 “청년 취업지원을 통해 제조업계의 고질적인 빈 일자리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역 산업과 청년의 ‘미스매치’ 해소에 기대감을 내비쳤다.
지원금이 당장의 유인책으로 작용할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청년이 일할 만한 산업 구조와 근무 여건 개선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청년이 떠나는 지방에서 일자리를 채운다는 건 단순히 수당을 준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청년 취업의 핵심은 ‘머물고 싶은 일자리’라는 사실을 제도가 얼마나 담보할 수 있을지, 이번 사업이 그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