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불 복구부터 AI 산업까지
국회에 ‘경남의 절박함’ 전달
산불로 잿더미가 된 마을과 낡은 진화장비, 그리고 기로에 선 인공지능 산업까지. 국회를 찾은 경남도는 이 모든 문제를 하나의 메시지로 요약했다. “이번엔 꼭 반영돼야 합니다.”
24일,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국회를 방문해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박정 위원장과 구자근‧허영 간사를 만나 추경 예산에 경남 지역 주요 현안이 포함되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이미 일부 반영된 산불 피해 복구 예산 외에 추가 증액과 미반영 사업까지 챙기며, 도는 이번 추경이 지역 회복의 결정적 계기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도지사는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신설과 진화장비 현대화, 그리고 경남 119 산불특수대응단 신설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지금처럼 강원도와 경북에만 센터가 있으면 남부권 산불은 후순위로 밀릴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내세우며, “남해안 지역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국립 센터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산불 진화대원의 고령화 문제와 낡은 장비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박 도지사는 “대원의 안전을 위한 첨단 진화장비 도입이 시급하다”고 말하며, 소방본부에 산불 전문 인력 양성 조직 신설을 위해 국비 지원을 건의했다.
이번 건의에는 AI 산업 육성 예산도 포함됐다. 경남도는 제조업 특화형 초거대 AI 개발과 데이터 융합사업을 통한 산업 전환 필요성을 강조하며, 디지털 전환의 파고를 지역이 기회로 바꾸기 위한 기반 조성에 국회의 협조를 요청했다.
경남도가 이날 국회에 건의한 사업은 △산불 대응 체계 강화 △피해지 복구 및 주민 지원 △AI 경쟁력 확보 등 총 10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이 가운데 일부는 긴급 벌채와 항구 복구 사업 등 이미 정부 추경안에 반영됐지만, 도는 “절반짜리 지원으로는 회복이 어렵다”며 전면적인 반영을 재차 요구했다.
앞서 경남도는 산불 피해 특별법 제정도 요청한 바 있다. 국회 방문 전날에는 제39사단과 함께 이재민 주택 철거를 시작으로, 주민 설명회와 주거비 지원 등 행정력을 총동원해 복구 작업에 나서고 있다.
도는 이번 추경이 단순한 예산 심사를 넘어, 재난 대응 체계 개선과 민생 회복을 위한 전환점이 돼야 한다고 본다. 빠르게 변하는 산업 구조와 심각해지는 기후위기 속에, 예산은 단지 돈이 아니라 ‘살아 있는 전략’이라는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