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 활력 회복위해 정책 연구 착수
패러다임 바꾼 진주시
진주시의회가 위기 진단을 넘어 ‘회복’을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진주시의회 의원 연구단체 ‘진주활력회복 연구회’가 지난 8일 공식 출범하며 지역공동체 위기 해법을 찾기 위한 본격적인 정책 연구에 나섰다. 연구회는 고령화와 청년인구 감소, 정주여건 악화 등으로 위기를 겪는 진주에 활력을 불어넣는 정책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연구회는 ‘지방소멸’이라는 절망적 프레임을 벗어나 ‘회복탄력성’ 관점에서 접근한다. 이는 경상국립대 송원근 교수의 이론을 차용한 개념으로, 단순 인구 수치가 아닌 지역의 ‘회복력’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책과 재원을 통합적으로 운영하자는 접근이다.
의원 7명 참여…“머무는 도시로 만들자”
연구회는 박재식 의원이 대표를 맡고 윤성관, 강진철, 김형석, 최민국, 최호연, 신서경 의원이 함께한다. 활동 기간은 11월까지 약 7개월. 연구는 △정주 인프라 개선 △청년 유입 전략 △창업 생태계 조성 △지자체-대학-기업 협력 모델 △광역 협력 체계 구축 등을 주요 과제로 설정했다.
정책 제안에 머무르지 않고, 조례 제정 같은 구체적인 입법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실증적 방법론을 통해 정책의 실효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박재식 대표는 “지금 필요한 건 단순히 인구를 늘리는 처방이 아니라, 사람이 머물고 활동할 수 있는 구조”라며 “지방의회가 주도하는 정책 연구로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회복’은 꾸준한 실천 없이는 달성할 수 없다. 연구회가 말뿐이 아닌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진주의 활력회복 실험이 다른 지자체에 새로운 정책 언어와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 사진에 사용된 사진출처: 진주시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