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부산~울산 광역철도’ 예타 통과 공동 노력…6월 결과 주목

3개 시도 국장, 기재부·국토부 찾아 공동 건의…수도권 집중 대응 강조

760만 부울경 연결하는 광역철도, 지방 소멸 대응 핵심 인프라 부상

부산과 울산, 양산을 잇는 광역철도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를 위해 경남도, 부산, 울산이 공동 대응에 나섰다.

부산과 울산, 양산을 잇는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를 위해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가 공동 대응에 나섰다.

박성준 경남도 교통건설국장과 임경모 부산시 도시혁신균형실장, 김석명 울산시 교통국장은 지난 12일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를 방문, 사업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직접 설명하고 조속한 예타 통과를 요청했다.

3개 시도는 수도권 집중과 비수도권 공동화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 상황에서 철도 중심의 광역교통망 확충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인식하고 있다. 경부울 지역의 인구는 약 760만 명으로 수도권 다음이지만, 지난 10년간 50만 명이 감소하며 지역 균형 발전의 경고등이 켜진 상황이다.

오는 6월쯤 타당성조사 결과 기대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는 울산역에서 신복 교차로, 양산 웅상을 거쳐 부산 노포까지 이어지는 47.8km 구간이다. 울산·양산·부산 1호선, 정관선 등 4개 도시철도와 연계돼 광역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이 노선은 2021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과 비수도권 광역철도 선도사업에 포함돼 2023년 6월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했다. 결과 발표는 이르면 올해 6월께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경남도는 지난해 4월 도의회가 조기 구축을 촉구하는 대정부 건의안을 채택하고, 지역 국회의원들이 기자회견과 특별법 발의 등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경남이 중심이 되는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도 지난해 12월 예타에 착수해 부울경이 힘을 모아 추진 중이다. 박성준 국장은 “두 노선은 부울경을 하나로 잇는 광역경제권의 핵심 인프라”라며 “수도권에 대응하는 경제 중심축이 되도록 예타 통과를 강력히 요청한다”고 말했다.

예타 통과만으로 문제 해결을 낙관하기 어렵다. 부울경이 진정한 광역 경제권으로 자리 잡으려면 교통망 확충뿐 아니라 생활·산업·교육의 연결고리를 촘촘히 엮는 구체적 전략이 병행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