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해정 창원시의원, 액화수소사업 정상화 촉구

“1050억 들인 창원 수소플랜트, 멈춘 이유는 오직 정치”

“기술·공론·수요 확대 4대 정상화 방안 제안”

“정치가 멈춘 자리에, 창원의 미래도 멈췄습니다.”

창원시의회 박해정 의원은 21일 열린 제143회 창원특례시의회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창원 액화수소 사업의 조속한 정상화를 촉구했다.
박 의원은 “창원이 국내 최초 하루 5톤 생산이 가능한 액화수소 플랜트를 확보하고도, 정치적 프레임에 갇혀 주도권을 타 도시에 내주게 생겼다”고 비판했다.

박해정 창원시의회 의원이 5분 발언을 통해 수소플랜트 사업 정상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사진제공=창원시의회

문제의 핵심은 총사업비 1,050억 원이 투입된 창원 액화수소 플랜트.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추진한 산단환경개선펀드 사업의 일환으로 선정돼, 정부의 수소경제 로드맵과 스마트 선도도시 계획에 포함된 핵심 기반시설이다. 하지만 전임 허성무 시장이 추진했던 해당 사업이 홍남표 전 시장 임기 중 ‘불법’으로 규정되며 가동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박 의원은 “창원시는 수소 구매 확약서의 당사자가 아니며, 채무 부담에 대한 법적 근거 또한 없다”며 “산업진흥원이 하이창원에 출자한 내용도 법적 기준에 부합하며 시의회 의결 대상이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앙투자심사에서도 조건부 승인을 받은 공모사업이었다”고 덧붙였다.

이날 박 의원은 실질적인 4대 정상화 방안을 제안했다.
△6월 초까지 ‘실무 점검단’ 구성과 가동 방안 마련
△‘운영협의체’ 구성 통한 디폴트 해결 및 국비 확보 협의
△시민·의회 참여 공론화로 제도적 보완
△수소 수요 확대 TF 구성 및 전략적 충전소 확충과 산업용 수요처 확보 등이다.

박 의원은 “기술을 보유한 도시를 넘어 기술을 활용하는 수소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며 “지금은 누가 시작했느냐보다, 우리가 어떻게 지킬지를 고민해야 할 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끝으로 “150억 원의 투자, 시민의 세금, 창원의 미래가 그 어떤 정치적 셈법보다 무겁다”며 “이 사업의 재개는 창원시의회가 마지막 브레이크가 아니라 새로운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며 발언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