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급증 속 가격 하락 압력’ 경남 주택시장, 회복 열쇠는?

협의회 개최, 미분양 해소 방안 모색

경상남도가 지역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발 벗고 나섰다.

16일 경남도청에서 열린 관계기관 협의회에서는 미분양 주택 급증이라는 위기 속에서 실수요 유지와 중앙정부 지원을 통한 시장 회복 방안이 논의됐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가격 하락 압력이 크지만, 장기적 공급 부족과 정책 지원이 경남 주택시장 회복의 열쇠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경남도는 이날 대한주택건설협회 울산경남도회, 대한건축사협회 경남건축사회,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경남도회,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남지역본부, 경남개발공사, 창원시 등 8개 시군 주택 관련 부서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주택시장 안정화 협의회를 개최했다. 주요议题는 도내 주택시장 전망 공유와 급증하는 미분양 주택 해소 방안이었다.

신종우 경상남도 도시주택국장은 “도내 주택시장이 침체되어 있지만 실수요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며 “미분양 해소를 위해 영남권 시도와 함께 중앙부처에 적극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경남 지역 미분양 주택 증가와 매매 감소 현상 등 지방 주택시장의 문제점에 대해 경남 각 기관, 단체가 논의에 나섰다. 사진=생성형AI

매매↓ 전월세↑, 미분양 급증

경남 주택시장은 2025년 2분기 기준 매매 거래가 감소하는 가운데 전월세 수요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이 지속된 결과로, 특히 2~3분기에 미뤄졌던 청약 및 준공 물량이 대거 공급되면서 미분양 주택이 급증할 전망이다.

김해시는 일부 단지를 임대분양으로 전환하며 인허가 물량을 조절하고 있지만, 지방 단독 대응으로는 한계가 뚜렷하다. 이에 따라 중앙정부의 세제 혜택과 LH의 미분양 주택 매입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대한주택건설협회 경남도회는 LH의 미분양 주택 매입 물량을 현재 3천호에서 5천호로 확대하고, 장기 미분양 주택을 우선 매입하도록 기준을 유연화할 것을 제안했다.

경남도는 15일 대구광역시에서 부산, 울산과 함께 미분양 대책회의를 열어 지방 주택시장의 심각성을 공유했다. 세 시,도는 수도권과 달리 지방의 미분양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고 인식하며, 세제감면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완화 등 실질적 대책을 중앙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이는 지방 주택시장의 유동성 회복과 실수요자 보호를 위한 공동 대응의 일환이다.

전문가 전망- 단기 하락, 장기 회복 가능성

주택산업연구원의 2025년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2025~2026년 공급 부족으로 주택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경남과 같은 지방은 현재 미분양 증가로 단기적 가격 하락 압력이 클 것으로 분석된다. 매일경제 보도에 따르면, 2024년 지방 주택 가격은 2.7%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이는 공급 초과와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보인다.

주택금융연구원의 2024년 상반기 분석에서도 비수도권 지역의 가격 침체와 일반 미분양 비중 증가가 확인됐다. 이는 경남의 상황과 맥락을 같이하며, 미분양 해소가 시장 안정화의 핵심 과제임을 시사한다. 다만, 경남은 전월세 시장의 꾸준한 실수요로 긍정적 요인을 유지하고 있다.

경남 주택시장은 단기적으로 미분양 급증과 매매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실수요 유지와 정책적 대응이 회복의 발판이 될 전망이다. 중앙정부의 세제 혜택, LH 매입 확대, DSR 완화 등이 실현될 경우 시장 유동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

경남 주택시장은 단기적으로 미분양 증가로 인해 가격 하락 압력이 있을 가능성이 높지만, 장기적으로는 전국적인 공급 부족 추세가 영향을 미쳐 가격 상승 가능성이 있다. 실수요 유지와 정책적 지원이 시장 회복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