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부산 행정통합, ‘공론의 장’에서 나온 민심은?

첫 시도민 토론회 양산서 열려… 기대와 우려 동시에

권역별 토론회 등 소통 확대, 공론화 의견서로 귀결 예정

부산과 경남이 하나의 이름을 고민하고 있다. ‘행정통합’이라는 중대한 화두 앞에, 이제 공은 시·도민의 손으로 넘어갔다.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는 지난 2일 양산 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경남·부산 행정통합 시도민 토론회’를 열어 양 지역 통합의 필요성과 찬반 논리를 두루 논의했다. 행정통합 논의를 본격적으로 공론화하는 첫걸음으로, 시·도민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이날 행사에는 권순기·전호환 공동위원장과 허용복 행정통합 특별위원회 위원장, 박인 경남도의회 부의장, 나동연 양산시장 등 지역 주요 인사와 시민 150여 명이 참석했다. 권순기 공동위원장은 개회사에서 “토론회를 통해 시도민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 결정에 반영하는 상향식 논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2일 양산 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열린 ‘경남·부산 행정통합 시도민 토론회’, 공론화위원회는 기조발제와 토론을 통해 사안에 대한 시·도민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사진제공=경남도청

기조발제는 하민지 경남연구원 팀장이 ‘경남·부산 행정통합의 올바른 이해’를 주제로 맡았으며, 지정 토론은 정원식 기획소통분과위원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했다.

지정토론에서는 △윤창술 경상국립대 교수의 ‘경남 발전을 위한 통합 방안’ △안권욱 지방분권경남연대 공동대표의 ‘자치권 강화를 위한 개혁’ △허용복 위원장의 ‘통합과 지방의회의 역할’ △하혜수 경북대 교수의 ‘통합 찬반 논리 비교’ 등 다양한 시각이 제시됐다.

특히 찬반 입장을 고루 다룬 발표가 이어지면서 참석자들의 이해도를 높였다는 평가다. 행사 말미에는 질의응답과 설문조사도 진행돼, 시민들의 생생한 관심과 우려를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공론화위원회는 이번 토론회를 시작으로 도내 권역별 토론회, 방송토론, 라디오 방송 등을 연계해 시도민과의 소통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렇게 수렴된 의견은 공론화 의견서로 정리되어 양 시‧도지사에게 전달된다.

행정통합이 과연 지방소멸 시대의 해법이 될 수 있을까?
시·도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 통합의 성패를 가를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