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경제자유특별자치도’ 승부수 던진다

경남도는 18일, ‘경제자유특별자치도’ 구상을 내놓으며 5대 분야 24개 핵심과제, 100개 세부사업(총 118조 744억 원 규모)을 정리해 각 정당 및 대선 후보에게 제안한다고 밝혔다. 사진제공=경남도청

5대 분야 100개 사업에 118조 투입… 대선 공약화 총력
‘경남 경제자유구역 특별법’ 제정 목표

경상남도가 대한민국 경제 지형을 바꿀 야심 찬 청사진을 제시했다.

차기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 선점을 목표로, 경남 전체를 아우르는 ‘경제자유특별자치도’ 구상을 내놓으며 지역 발전을 위한 승부수를 던진 것이다. 경남도는 18일, 이 같은 비전 아래 5대 분야 24개 핵심과제, 100개 세부사업(총 118조 744억 원 규모)을 정리해 각 정당 및 대선 후보에게 제안한다고 밝혔다. 세부사업 중 눈에 띄는 사항들을 정리했다.

경제·산업: ‘경제자유도’ 밑그림과 첨단산업 육성

핵심은 ‘경남 경제자유구역 특별법’ 제정이다. 이를 통해 경남 전역을 규제 완화 특구(경제자유구역)로 지정하고, 현재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 소속인 하동사무소를 분리해 독립적인 ‘경남경제자유구역청’ 설립을 추진한다. 이는 경남이 대한민국 ‘경제자유특별자치도’로 나아가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작업이다.

동시에 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우주항공 분야에서는 ‘우주항공복합도시 건설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미래항공모빌리티(AAM) 특화단지, 우주탐사기술 시험개발 전문센터, 과학기술원 부설 우주항공 과학영재학교 설립 등 인프라 집적화를 통해 ‘글로벌 우주항공 수도’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또한 창원국가산단을 디지털·인공지능(AI) 산단으로 탈바꿈시키고, 경남 디지털 혁신밸리 조성과 국가 AI 컴퓨팅 센터 유치로 ‘제조 AI 메카’를 구축한다.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단(창원), 소형모듈원전(SMR, 기존 대형 원전 대비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인 소형 원자로) 제조 혁신허브 조성, 방산부품연구원 설립,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Maintenance, Repair, Overhaul) 클러스터 조성 등 주력산업 고도화 전략도 담겼다. 수소특화단지 조성과 기업의 사용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RE100(Renewable Energy 100%) 실현을 위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도 추진한다. 경남과학기술기관(GIST 모델) 등 국책 연구기관 유치 계획도 포함됐다.

관광·문화: 남해안 국제관광 거점 도약

수도권에 대응할 남해안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전략도 마련됐다. ‘남해안권 발전 특별법’ 제정을 통해 남해안 국제해양관광특구를 지정, 대한민국 제2의 경제권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가덕도 신공항 배후도시 예정지에 외국인 전용 카지노 등을 집적해 세계적 관광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관광 관련 사무를 분리한 ‘관광청’ 신설 및 경남 유치도 제안한다. 남부내륙철도, 동대구~창원~가덕신공항 고속화철도, 거제~통영 고속도로 등 주요 관광지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연계 교통망 확충도 핵심 과제다. 이외에도 통영 복합해양레저관광단지 조성, 2035 남해안 미래 해양엑스포 개최, 지리산 케이블카 설치, 경남 문화콘텐츠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을 추진한다.

도시·교통·물류, 트라이포트 기반 국제물류특구 조성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확대를 통해 첨단 동북아 물류 플랫폼 기반을 다진다. 가덕도 신공항, 진해신항, 철도를 연계하는 교통망을 확충해 육·해·공 복합 물류(트라이포트, Tri-port) 기반의 국제물류특구를 조성한다. 국가 물류정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국제물류진흥청’ 설립도 제안한다. 항만배후단지 공급 전략 다변화, 신항만 비즈니스센터 건립, 신항 세관 통합검사장 조성 등으로 물류산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사천공항은 활주로 확장, 터미널 증축 등을 통해 국제공항으로 승격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균형발전, 법률·복지 서비스 격차 해소 및 광역 교통망 구축

경남은 인구 300만 이상 광역 시·도 중 유일하게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이 없어 인재 유출과 법률 서비스 접근성 문제가 제기돼 왔다. 이에 도내 대학에 법학전문대학원 설립을 추진한다. 국립 사회복지 종사자 연수원 설립도 제안해 사회복지 서비스 질 향상을 도모한다.

도내 1시간, 수도권 2시간 생활권 시대를 열기 위한 교통 인프라 확충에도 나선다. 부산~양산~울산 및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의 일반철도 변경 추진, 수도권과 남해를 2시간대로 잇는 대전~남해선, 영호남을 1시간대로 연결하는 전주~함양~울산선 신설 등을 제안한다. 남북6축(진천~합천) 고속도로 함안 연장, 김해~밀양 고속도로 창원 연장(비음산 터널 경유) 등도 핵심 과제다. 양산 상북~웅상 국도 승격, 경전선 고속열차(KTX·SRT) 증편 등 지역 숙원 사업들도 반영됐다.

보건·환경·농·해양, 지속가능한 환경 및 의료 인프라 확충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 보전을 위한 사업도 포함됐다. 국가 녹조대응 종합센터 건립, 국립해양과학관 설립, 낙동강 프로젝트, 한·아세안 국가정원 조성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환경을 조성한다.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와 119산불특수대응단 설치, 마산항 일대에 수문 개폐 시스템(플랩게이트) 설치하는 ‘K-모세 프로젝트’ 선도 사업도 제안했다. 국립암센터 남부분원 유치와 도내 대학 의과대학 설치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