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회, 대학 통합·RISE 사업 점검… 지역 혁신 동력 확보 나선다


경남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가 경남지역 대학 관련 핵심사업 안착을 위해 팔을 걷고 나섰다. 사진제공=경남도청

5년간 5,235억 투입 ‘RISE 사업’
도립대-창원대 통합 추진 상황 챙겨

경남 지역 대학의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사업들의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안착을 지원하기 위한 도의회의 활동이 주목된다.
경상남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가 도립대-창원대 통합 추진 상황과 올해 본격화된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을 면밀히 살피며 지역 고등교육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 마련에 힘을 보태고 있다.

도립대-창원대 통합 추진 현황 점검

기획행정위원회는 지난 16일 위원회 회의실에서 창원대 부총장, 경남도 교육청년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도립대와 창원대의 통합 추진 관련 간담회를 열었다. 위원회는 지난해 12월 말 교육부에 통합 신청서를 제출하고 현재 심사가 진행 중인 통합 추진 경과를 보고받았다. 양 대학은 교육부 승인 후 협약 체결을 거쳐 2026년 3월 통합대학 개교를 목표로 한다.

간담회에서 위원들은 통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원 감축 여부 ▲다층학사제(단일 전공 외에 부전공, 복수전공, 연계전공 등 다양한 학위 취득 경로를 제공하는 제도) 운영 가능성 등 주요 쟁점을 점검했다. 또한 통합 대학의 중장기 운영 계획에 도립대 캠퍼스의 실질적인 발전 방안을 포함하고, 지역 주민의 의견을 우선 반영하는 절차를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5년간 5,235억 투입… RISE 사업 본격화

위원회는 이날 올해부터 본격 추진되는 RISE 사업 현황도 보고받았다. RISE 사업은 대학과 지역사회가 협력해 지역 인재를 양성하고 청년의 취업과 창업을 지원하며, 정주 여건을 개선해 지역 발전 생태계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부의 재정지원 사업이다.

이 사업에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총 5,235억 원(국비 4,475억 원, 도비 76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올해 예산은 총 1,027억 원(국비 895억 원, 도비 132억 원) 규모다. 경남도는 도내 19개 대학의 112개 사업을 확정해 추진하며, 이 사업들은 대학 혁신, 지역 정주 인재 양성, 전략 산업 연계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특히, 경남도가 RISE 계획 최우수 지자체로 선정돼 확보한 인센티브 예산 135억 원은 도비를 추가 편성해 향후 공모를 통해 대학에 지원될 예정이다.

위원회는 RISE 사업이 경남 지역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지역 발전의 핵심 동력임을 강조하며, 체계적인 성과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목표 달성이 미흡할 경우 즉각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학 현장 방문, 실효성 있는 사업 추진 당부

간담회 이후 위원회는 오후에 경남대학교와 마산대학교를 방문해 RISE 사업 추진 상황을 직접 확인하고 대학의 어려움을 들었다. 현장에서 위원들은 각 대학에 사업 목표에 대한 대학 구성원 간 공감대 형성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또한 지역 기업 및 주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해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청년 취·창업 활성화와 지역 정주 여건 개선 등 도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기 위해 적극 노력해 줄 것을 요청했다.